부자들의 삶을 어떨까? 많은 사람들이 궁금하는 주제 중 한 가지입니다. 하지만 주변에 부자가 없다면 부자들의 삶이 어떤지 알 수 없겠죠? 그럴 땐 부자들이 어떤 삶을 사는지 직접 알아보는 것이 좋은 방법 중 한 가지입니다. 부자들이 어떤 삶과 생각을 갖고 사는지 알 수 있는 리포트 중에 한 가지는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서 2007년부터 발간하는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입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서 발간된 2024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를 보며 부자들의 삶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부자의 행복
- 부자의 루틴
- 마무리
부자의 행복
부자의 행복을 1) 돈의 의미 2) 돈과 행복의 비례 3) 삶의 만족 4) 부와 행복을 부르는 성격 4가지 관점으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돈의 의미를 살펴보면 부자는 돈을 '편안함,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하며 일반 대중보다 긍정적 의미를 부여합니다. 일반 대중은 돈을 '삶의 전부'라고 여길 만큼 절실함이 크고, 불평등 하거나 고통 등의 부정적 인식이 더 큰 편입니다.
2) 돈과 행복의 비례를 살펴 본다면 자산을 형성할 때, 총 자산 50억 원까지 삶의 만족률이 지속 상승합니다. 이후 감소하다 70억 원 이상에서 큰 반등을 합니다. 총 소득을 기준으로 보면 4억 원, 총소비액을 기준으로 보면 2천만 원을 기준으로 삶의 만족률은 하락, 정체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삶의 만족에서는 어떨까요? 부자들은 전반적으로 삶에 만족하는 비율이 일반 대중보다 2배 가량 더 많습니다. 또한 부자들은 가족관계, 여가, 사회생활 등에 더 만족하며 경제적 요인 외 가족 및 사회생활에서의 인간관계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4) 부&행복을 부르는 성격을 살펴보겠습니다. 부자는 일반 대중에 비해 스스로를 이성적이며, 관대하다고 평가합니다. 특히 초부자는 목표지향적이고 똑똑하다고 자평합니다. 한편 착하고 감성적이기 보다 스스로를 신뢰하고 목표를 추구하는 성격이 부&행복의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부자의 루틴
다음으로는 부자들의 루틴이 일반인들과 어떻게 상이한지 4가지 관점 1) 오전 루틴 2) 부자의 독서습관 3) 부자의 취미 4) 하루를 보내는 시간과 가족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부자들의 오전 루틴을 살펴보면 부자는 본격적으로 하루를 시작하기 전, 종이신문과 뉴스로 세상의 이슈를 살펴봅니다. 또한 아침 운동과 산책으로 심신을 깨우며 스케줄링을 통해 하루를 계획합니다. 일반 대중이 연예/스포츠에 관심이 많은 반면 부자는 경제 뉴스에 높은 관심을 보입니다.
2) 부자의 독서량은 한달에 한 권 꼴로 일반 대중보다 더 많습니다. 또한 슈퍼리치는 부자보다 2배는 더 많은 독서량을 자랑합니다. 이것으로만 보아도 경제력과 독서량은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부자들의 관심 주제는 무엇일까요? 부자는 인문/사회 분야의 책을 가장 선호해 교양과 지적 욕구를 충족하고 일반 대중은 소설과 자기 계발서를 선호해 재미와 자기 발전에 관심이 많습니다.
3) 부자의 취미는 무엇일까요? 부자는 산책과 걷기를 취미 삼아 일상 속에서 심신을 단련합니다. 골프와 헬스로 건강을 관리하는데 골프는 건강 관리 외 친목 도모의 목적도 큰 편입니다. 운동 다음으로는 문화 예술 관람과 요리를 취미로 하며 특히 슈퍼리치는 컬렉팅과 파인다이닝에 관심이 많습니다.
4)부자의 하루 시간과 가족을 대하는 태도를 알아보겠습니다. 부자의 평균 수면 시간은 7.3시간으로 일반대중보다 0.5시간 짧습니다. 또한 부자는 10명 중 7명은 주 3회 이상 가족과 함께 식사하며 거의 매일 식사도 40%에 달하며 일반 대중보다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이 깁니다.
마무리
'부자가 되고 싶다면, 그들과 함께 어울려라'라는 말이 있죠? 그 말뜻은 부자들과 어울리면 그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을 보고 배우기 때문입니다. 웰스 리포트를 보며 부자들의 삶의 방식을 나에게 적용해 보는 건 어떨까요? 그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을 따라 한다면 우리도 언젠간 웰스 리포트에서 정의한 부자의 범위 안에 포함되지 않을까요?
'Bambi's T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 마무리를 위해 해야 하는 것 (1) | 2024.12.21 |
---|---|
연봉 협상에 대한 나의 생각 (1) | 2024.04.21 |
티스토리를 시작하며 (0) | 202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