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기판 관련주 알아보기 (와이씨켐, 켐트로닉스, SKC, 필옵틱스, 삼성전기)
애플이 차세대 모바일 프로세서 AP에 반도체 기판의 소재를 플라스틱에서 유리로 바꾼 유리기판을 적용한다는 외신 보도에 따라 유리기판 관련주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유리기판이란 전자기기나 광학기기에서 다양한 기능적, 구조적 역할을 하는 기본적 소재입니다 기존 플라스틱 소재 대신 유리를 채용한 기판이며 기존 유기 소재보다 딱딱해서 세밀한 회로 형성이 가능하며 열과 휘어짐에도 강하기 때문에 대면적화에 유리합니다. 꿈의 기판이라 불리는 유리기판 관련주인 와이씨켐, 켐트로닉스, SKC, 필옵틱스, 삼성전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와이씨켐
- 켐트로닉스
- SKC
- 필옵틱스
- 삼성전기
와이씨켐
와이씨켐은 반도체 공정 재료 개발 및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23년 3월 영창케미컬에서 와이씨켐으로 상호 변경을 하였습니다. ArF & KrF 포토레지스트용 rinse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고, residue defect 제거를 포함한 특수 목적의 ArF Immersion 공정용 risne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양산화 하였습니다. 와이씨켐은 2028년까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내 신규 시설 및 설비 구축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와이씨켐은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 기준 매출액은 23%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하였습니다. 반도체 시장의 불황으로 반도체 공정재료의 수출, 내수 매출 모두 감소하였으며 인건비 등 판관비는 증가하여 영업이익을 적자전환하였습니다. 또한 Slurry 및 Wet Chemical 소재의 생산능력 확보를 위해 성주일반 사업단지에 2020년부터 2022년까지 4,818평 부지 규모에 200억 가량의 설치투자를 진행하였습니다.
켐트로닉스
1983년 설립되어 전자 및 화학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켐트로닉스. 켐트로닉스가 영위하는 사업 부문은 전자사업, 화학사업, 태양광사업이 있습니다. 전자사업은 전자부품 사업 부문, 무선충전 사업부문, 자율주행 사업부문으로 구분되며 화학사업은 케미칼 사업부문, 디스플레이 사업부문으로 구분됩니다. 2023년 1분기말 기준 자율주행연구소를 통해 국책과제를 포함한 10건의 연구개발활동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 15.6% 감소, 영업이익은 61.3% 감소, 당기순이익 전자전환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약 15%가량 감소하였으며 특히 아시아 부문의 매출이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이에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2022년 전자부품 사업과 자율주행 사업의 기술 시너지로 카메라를 개발하여 삼성전자 전략 모델인 스마트 모니터에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는 등 신규 제품을 확대하고 있으며, TV 부문까지 확대 적용 할 계획입니다.
SKC
SKC는 리튬이온 2차전지 소재인 전지박(Copper Foil) 등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2차전지 소재사업, PO 등을 생산, 판매하는 화학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세라믹파츠, CMP Pad 등을 생산, 판매하는 반도체 소재/부품 사업 또한 영위하고 있습니다. PG는 사가 국내 최초로 상업화한 이후 현재까지도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는 제품으로 친환경 HPPO 공법을 통해 PO(Propylene Oxide)로 고부가 PG제품을 생산합니다.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하였습니다. SKC의 자회사인 SK넥실리스는 동박 공급 과잉인 데다가 세계적인 전기차 판매 증가량이 일시적으로 둔화되면서 SKC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SKC는 Global Top-Tier 수준의 원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아이디어 발굴 및 실행을 통해 제조원가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노력 중입니다.
필옵틱스
필옵틱스는 2008년 설립되어 Rigid 및 Flexible OLED 디스플레이 제조공정과 전기차용 2차전지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첨단 자동화 장비를 제작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사업부문은 OLED 레이저 장비부문, 2차전지 공정장비부문, 기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계 최초 OLED 디스플레이 Laser 가공 표준 설비를 양산하였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Laser Cutting, Laser Lift Off, UTG 가공 장비 등이 있습니다.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6% 증가, 영업이익은 64.1%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하였습니다. 사업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한 신규사업으로 반도체 공정용 DI 노광기, Laser Drilling, Laser TGV 등 3종의 핵심 설비를 개발 중에 있습니다. 미국 2차전지 공급망 내 탈중국화 움직임은 국내 배터리 장비업체들에게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전방시장 확대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삼성전기
삼성전기는 수동소자(MLCC, 칩인덕터, 칩저항)를 생산하는 컴포넌트 사업부문, 카메라 모듈/통신모듈을 생산하는 광학통신솔루션 사업부문, 반도체패키지 기판을 생산하는 패키지솔루션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수원에 위치한 본사를 포함 국내에 총 3개의 생산기지(수원, 세종, 부산)와 해외 총 6개의 생산기자(중국, 필리핀, 베트남)를 보유하였습니다. 컴포넌트 부문 매출 비율이 44.34%로 가장 큽니다.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4% 감소, 영업이익은 51.1% 감소, 당기순이익은 56.3% 감소하였습니다. 2023년 3분기 실적은 전반적으로 해당 사업의 경기가 불황이고 IT의 수요 또한 감소하여 개선된 실적을 기대했으나 영업이익 등 실적이 감소하였습니다. 2023년 3분기말 삼성전기의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외 그 종속회사이며 해당 거래처에 대한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액 대비 약 32.9%입니다.
반도체 유리기반 관련주인 와이씨켐, 켐트로닉스, SKC, 필옵틱스, 삼성전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유리기반 관련주는 앞에서 언급한 5개 기업 외에도 더 많은 기업이 있습니다. 관심을 받는 관련주답게 올해 주가 등락률을 보아도 꽤 높은 상승률을 보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앞에서 소개한 5개 기업 외에도 유리기반 관련주에 대해 더 알아보시고 현명한 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투자 권고 포스팅이 아니며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